[50플러스사업 언론보도자료입니다]

 

50+세대 인구의 20%…"준비 없이 노년 맞으면 사회에 큰 짐"
"고령세대 경험과 시간, 사회 자산이라는 인식과 지원 필요"


 

(서울=연합뉴스) 최윤정 기자 = "그동안 너무 앞만 보고 달려왔어. 그런데 앞으로 뭘 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 갈 곳이 마땅치 않아 산에나 다닌다. 아직 더 뛰어도 될 것 같은데…"

1955년에서 1963년 사이 태어난 전후 베이비붐 세대인 50+세대의 현주소다.

고령화로 인해 노후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열심히 일하다가 은퇴하고 나면 길지 않은 여생을 즐긴 뒤 마무리하던 공식은 더이상 유효하지 않다. 100세 시대에는 인생 2모작, 3모작이 가능하다.

50+세대는 우리나라 인구의 약 20%에 달한다. 이들이 제2의 인생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국가의 미래가 달라질 수 있다.

문제는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지금 50+세대가 미처 준비가 안 됐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새로운 출발선에 선 50+세대를 위해 50+ 캠퍼스를 세우고 사회공헌형 일자리를 마련한다.

 

◇ '낀 세대' 50+ 세대…정책에서도 소외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달 50+ 정책을 소개하는 브리핑에서 자신의 친구와 선후배들의 이야기를 소개했다.

빈농의 아들로 태어나 공부를 잘해서 출세 가도를 달리다가 지난해 은퇴한 K, 오퍼상으로 성공해 나타난 고향친구 Y, 말단 사원부터 시작해 대기업에서 살아남으려 치열하게 일한 선배 P, 은퇴를 앞두고 의미 있는 일을 찾는 후배 L.

이와 같은 50+ 세대는 1인당 국민소득 50 달러 시대에 태어나 2만 달러가 되기까지 숨 가쁘게 달려왔다. 이들은 산업화 역군, 한강의 기적을 만든 일등공신으로 불린다. 학술적으로 농업세대와 IT세대, 근대와 현대 사이의 다리를 놓는 가교세대로 규정되기도 한다.

현실적으로는 실질소득은 줄어드는데 부모, 자식 부양책임을 동시에 진 낀세대, 아파트 한 채에 인생을 담보 잡힌 '하우스 푸어'로 묘사되기도 한다.

이들은 남은 50년을 어떻게 살아야 할지 막막하기만 하다.

일할 능력과 경륜, 의지가 충분하지만 회사에서는 연봉은 높은데 효율은 떨어지는 존재이고 새로운 일자리를 찾기는 어렵다.

이들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조직에서 밀려났는데 사회에서도 먹고살 만한 사람들이라며 뒷전이다.

이제는 우리 사회에서 50+ 세대가 능력과 의지에 맞는 역할을 하도록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이들이 방치된 채 노년층이 된다면 사회에 큰 짐이 될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또 "노인 한 분이 돌아가시면 도서관 하나가 불타는 것과 같다"는 말이 있듯이 이들의 경험과 지혜가 쓸모를 찾지 못하고 버려지면 우리 사회에 큰 손실이다.

 

 

◇ 50+ 세대를 새로운 사회 주역으로

지난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서울시 정책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시 50+세대의 36.5%는 전문대학 이상의 학력 소유자이다. 26%는 전문 사무직에 종사한다. 가족 규모는 평균 3.09명이고 가구 소득은 평균 연 4천853만원이다. 남성의 82.8%, 여성의 34.3%가 현재 경제활동을 할 정도로 사회 경험도 풍부하다.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갖춘 50+세대는 이제 새로운 인생 준비에 나서야 한다.

미국 AARP(미국은퇴자협회; American Association of Retired Persons)의 수석 큐레이터인 리처드 J. 라이더는 "생의 전반기에 우주비행사로 달을 걸었던 사람이라도 생의 후반기에 자신의 새로운 정체성과 목적을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지난달 주한미국대사관·서울시·서울50플러스재단이 개최한 앙코르50+포럼에서 한 발언이다.

라이더는 "내 삶의 목적을 찾는 것은 사치가 아니라 필수적인 일이며, 가만히 있다고 목적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날마다 열심히 찾아야 한다"며 "잘 늙기 위해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쌓아 온 50+세대가 지속적으로 사회에 기여하고 성공적인 노후를 보내도록 이들의 인생 이모작을 종합적으로 지원할 사회적 장치가 필요하다.

우선 인생 재설계로 노후불안을 해소하고, 이들의 역량이 공익적인 일에 사용되도록 유도해야 한다.

정건화 서울50플러스재단 이사는 "노인이 다수가 되는 세상에서는 고령 세대의 경험과 시간이 곧 사회의 자산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보다 앞서 고령사회로 진입한 유럽과 미국에는 50+ 세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이 있다.

영국에는 은퇴한 시니어들이 누구나 가르치고 누구나 배우는 U3A(University of the Third Age)가 있다. 영국 전역에 900여개 학교에서 30만 회원이 활동한다. U3A는 철학, 언어, 심리학, 예술, 체육, 게임 등 다양한 강의가 개설돼있다.

또 영국에는 시니어의 창업을 돕는 단체들도 활발하다. 대표적으로 한 퇴직자의 편지를 받고 찰스 왕세자가 설립한 '프라임 이니셔티브'가 있다. 독일에는 정부가 2007년 시작한 이니셔티브 50플러스(Initiative 50Plus), 미국은 앙코르(Encore.org), 일본은 릿쿄대 세컨드 스테이지 칼리지(Second Stage College)가 비슷한 사례다.

 

◇ 현역으로 뛰는 50+ 세대…서울시 50+캠퍼스에서 배운다

서울시는 50+ 세대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50+ 정책을 이끄는 싱크탱크 역할을 하는 서울50플러스재단을 4월28일 설립했다.

2018년까지 권역별로 50+ 캠퍼스 6곳을 세운다. 50+ 센터는 지역밀착형으로 19개를 세워 2020년이면 50+ 시설이 자치구마다 있도록 한다.

50+캠퍼스는 50+ 세대 맞춤형 교육을 하고, 네트워크 형성으로 새로운 일을 도모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서울 은평구 혁신파크에 서북캠퍼스가 5월 문을 열었다. 앞으로 창업·창직·미디어로 특화한 도심캠퍼스와 마을, 대학과 연계한 서남캠퍼스 등 50+ 캠퍼스를 매년 2곳씩 설치한다. 3년 뒤면 매년 1천200개 과정이 개설되고 4만 8천명이 교육을 받게 된다. 찾아가는 50+ 컨설턴트 300명을 양성해 맞춤형 상담서비스도 해준다.

50+캠퍼스는 단순한 교육이나 지원 기관이 아니라 정보와 배움, 일과 문화,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새로운 인생 모델을 창조하고 지원하는 광역형 플랫폼이다.

서울시는 또 공공과 민간 분야에서 50+세대의 경력을 활용한 다양한 사회공헌형 일자리를 만들 예정이다.

50+세대들이 모여 연구활동을 하거나 지역 내 소모임, 동아리 같은 모임을 할 수 있도록 공간과 비용을 지원해 숨은 50+세대들이 신문화를 창조, 확산시키는 것을 도울 계획이다.

윤만호 서울50플러스재단 이사장은 "고령화로 인해 경제 활력이 떨어지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경제활동인구의 가장 맏형이자 인구의 20%를 차지하는 50+ 세대로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이 잘사는 것이 우리 경제가 잘되는 길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윤 이사장은 "서울50플러스재단은 단순 교육이나 일자리 마련을 넘어 50+세대들이 새로운 인생 모델을 찾도록 돕는 플랫폼을 만들 것"이라며 "예산과 재정에만 의존하지 않고 민간과 협력해서 차근차근 시스템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원문보러가기-클릭하시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